본문 바로가기
728x90
SMALL

Computer Science/Computer Network4

Chapter3 - GoBackN과 Selective Repeat Go-Back-N과 Selective Repeat의 차이 - time out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하냐가 이 둘의 큰 차이점 ▪︎ Go-back-N - N개를 실행하다 문제 발생 시 다시 뒤로 간다. - sender는 ACK를 받지 않고 최대 N개까지 파이프라인 형식으로 보낼 수 O - receiver는 오직 cumulative ack를 보냄. - 항상 자신이 정상적으로 받았던 마지막 seq #의 packet에 대해서만 ACK를 보냄. ex) 3번을 보냄. -> seq # 0,1,2,3에 대한 패킷은 모두 정상적으로 받았음을 의미 - 순서에 맞지 않게 온 packet은 모두 무시 -> gap은 허용 X - sender는 ack를 아직 받지 않은 가장 오래된 패킷에 대해 timer를 실행 (N개 단위로.. 2023. 4. 25.
Chapter 3 - Transport layer Transport services and protocols - 서로 다른 host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 프로세스 사이에 논리적인 통신연결을 만들어준다.(논리적인 선을 만들어주는게 X) - transport 프로토콜은 end system 안에서 동작 (network core에선 구현 필요 X) - sender (in application layer): segment 단위로 application message들을 쪼개서, network layer로 전송 - receiver (in transport layer): segment를 message로 재조립 후, application layer로 전송(어느 socket으로 보낼지 결정 후 전송) - Internet application에서는 2개의 tr.. 2023. 4. 21.
Chapter 1 - application layer Internet : 1) nuts and bolts view(구성 요소를 가지고 인터넷 정의) computing devices : hosts=end systems, 인터넷의 edge에서 돌아가는 네트워크 앱 packet switches : 데이터의 chunk들인 packet 전달하는 역할 / routers, switches communication linkes : device에 연결하기 위함 / fiber(광케이블), copper(구리), radio(무선), satellite(위성) - transmission rate : 전송 속도 - bandwidth(대역폭) :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 혹은 폭, link의 성능 -> link를 통해 1초에 몇 bit로 전송 가능한지 bandwidth는 네.. 2023. 4. 14.
HTTP 응답코드 종류 *다음은 인프런 김영한의 HTTP 웹_기본지식 강의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글입니다. 4xx - 클라이언트 오류 ▪︎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잘못된 문법 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▪︎ 오류의 원인이 클라이언트에 있음 ▪︎ 클라이언트가 이미 잘못된 요청, 데이터를 보내고 있기 때문에, 똑같은 재시도가 실패함 400 Bad Request : 클라이언트가 잘못된 요청을 해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▪︎ 요청 구문, 메시지 등등 오류 ▪︎ 클라이언트는 요청 내용을 다시 검토하고, 보내야함 ▪︎ 예) 요청 파라미터가 잘못되거나, API 스펙이 맞지 않을 때 401 Unauthorized : 클라이언트가 해당 리소스에 대한 인증이 필요함 ▪︎ 인증(Authentication)되지 않음 ▪︎ 401 오류.. 2023. 3. 6.
320x100
LIST